2/25/2008

낚싯대의 과학 2-2

낚시춘추 2007년 3월호 게재
낚싯대의 과학(2) :릴대 '등뼈'에 가이드를 붙여라

릴낚싯대의 필수품, 가이드
릴낚싯대에는 필수적으로 낚싯줄이 통과하는 가이드가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가 없다면 릴낚싯대라는 의미가 없어지는데, 낚싯줄이 낚싯대 몸통 속으로 통과하는 소위 ‘인터라인’ 낚싯대라도 처음 낚싯줄이 삽입되는 입구와 출구에는 어김없이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릴대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가이드, 그 종류 및 변천 그리고 어떻게 부착되어 있는 것인지 그저 지나쳐 버린 숨겨진 과학적 이론을 파헤쳐본다.

종류는 여러 가지 : 변천과 최신형
가이드의 종류는 분류 기준을 무엇으로 하느냐에 달려있지만 다양다종이다. 일반적으로 쉽게 만나볼 수 있는 금속 프레임에 세라믹 재질로 보이는 링이 들어있는 흔한 가이드 이외에도 실은 특이한 형태의 가이드도 있다. 트롤링낚싯대에 부착된 회전 롤러가이드와 플라이낚싯대의 가는 철사로 된 스네이크가이드가 특수하다고 말할 수 있다. 이것들은 일단 제쳐두고 일반적인 가이드만을 본다면, 가이드의 등장은 릴대의 발명과 동일선상에 있는데 일단 가이드의 형태는 <그림6>과 같다.
이런 형태는 과거 단순한 철사를 구부려 만든 것을 이용했지만, 통과되는 낚싯줄과의 마찰로 인한 손상(<그림7>)이 바로 문제시 되어 낚싯줄과 접촉하는 부분(가이드 링)에 무언가 특수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낚싯줄의 손상을 최소화 하는 노력이 시작되었다. 또한 늘어나는 무게를 어떻게 줄일 것인가 이런 것들이 가이드의 변천을 불렀다고 할 수 있다. <표1, 2 참조>
그렇다면 가장 좋은 가이드는 어떤 것인가? 먼저, 낚싯줄에 어떠한 형태(마찰, 열)로든 손상을 주지 말아야 하고 가벼워서 낚싯대 고유의 능력을 손상시키지 말아야 하며 쉽게 상하거나 잘 부서지지도 말아야 한다. 1990년대에 등장한 낚싯줄인 PE라인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이러한 고성능의 가이드(SIC가이드 등)는 이미 개발되어 낚싯대에 부착되고 있다.
실제로는 일본의 ‘후지공업(富士工業, FUJI TACKLE)’이라는 회사가 수많은 형태의 가이드를 발명하고 또한 특허권을 갖고 있으므로 그 개발된 순서가 가이드의 변천이라고 봐도 과언은 아니다.

<표1>가이드 릴 소재 변천
재질///////////상품명/////최근사용/////////비고
---------------------------------------------------------------------------
철사 /////////////-//////////X///////최초 양산형 가이드, 녹,
/////////////////////////////////////쉽게 파임, 낚싯줄 손상
----------------------------------------------------------------------------
텅스텐////////////-//////////X///////표면강도우수,무거움,
카바이드 /////////////////////////////표면거칠어짐
----------------------------------------------------------------------------
마노Agate ////////-//////////X///////천연광물질, 세라믹(규소)
/////////////////////////////////////가이드 재료의 기준 제공,
/////////////////////////////////////무겁고 깨지기 쉬움
----------------------------------------------------------------------------
세라믹(磁器)///////-//////////X///////1960년대 등장,표면강도와
/////////////////////////////////////매끄러움 우수,충격에 약함
-----------------------------------------------------------------------------
산화알루미늄////하드링////////X///////세라믹에 금속성분복합된
///////////////(Hard ring)*///////////현대적 가이드의 시작
-----------------------------------------------------------------------------
질산규소//////////-///////////X///////발전된세라믹가이드,
(SiN)////////////// //////////////////강도우수, 무거움
-----------------------------------------------------------------------------
고밀도/////////하드로이///////O///////중저가 가이드,
산화알루미늄///(Hardloy)*/////////////PE라인 사용불가
-----------------------------------------------------------------------------
탄화규소///////SiC링*/////////O//////1980년대 등장, 경도/무게/
(SiC)/////////////////////////////////방열성에 있어 최고 소재
-----------------------------------------------------------------------------
질산티타늄////골드서메트///////O/////1990년대등장, 세라믹과 금속의
(TiN)////////(Gold cermet)*//////////복합, SiC보다충격에 강하여깨지지
////////////////////////////////////않음, 경도가 떨어지고 무거움
------------------------------------------------------------------------------
기타//////////////-///////////O//////알코나이트(Alconite)*
/////////////////////////////////////인공루비, 인공사파이어
------------------------------------------------------------------------------
*상품명은 일본 후지공업 제품

<표2>가이드 프레임 소재

재질///////////////용도/////////////////////////비고
-----------------------------------------------------------------------------------
///////////현재는 사용되지 않음

스테인리스//////주로 사용되는///////////////다양한 표면처리(도금,
///////////////가이드프레임////////////////이온증착 등)부식 방지

황동//////////대물용 낚시대의//////////////////////"
//////////////가이드프레임에 사용

티타늄 합금////경량, 고감도가////////////////가볍고 강도우수,
//////////////요구되는 낚싯대//////////////고가제품

나일론수지/////갯바위 찌낚싯대//////////////일체 성형, 가벼움
//////////////초리부분 일부

무엇에 필요한 가이드인가? : 그 낚싯대의 목적
릴낚싯대에도 그 주목적이 나누어질 수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채비를 가능한 한 멀리 던지기 위한 것이냐, 또는 채비의 투척은 적당한 거리로 충분하고 낚싯대 조작이 위주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전자는 원투대나 루어낚싯대, 후자는 갯바위 찌낚싯대나 외줄낚싯대 쯤 될 것이다. 여기에서 가이드는 그 크기와 개수가 문제가 되는데, 원투성(대구경 가이드와 적은 개수), 낚싯대 블랭크 고유의 힘/능력발휘(소구경 가이드, 많은 개수)라는 요소가 낚싯대의 전체 무게라는 모순된 조건과 얽혀있다.
가이드의 구경은 릴(특히 스피닝 릴)에서 방출되는 낚싯줄을 자유로이 뻗어나갈 수 있도록 저항이 적어야 하는 것과 동시에 적당한 선에서 제어하는 기능도 겸비해야 한다. 그래서 릴 쪽에서부터 초리 쪽으로 차츰 작아져 간다. 물론 얼마나 굵은 낚싯줄을 사용할 것인가 릴의 크기는 얼마인가 등에 따라 그 정도의 차는 그때그때 낚싯대마다 다르다.
<그림8>과 같이 가이드의 개수가 적으면 블랭크에 내제된 힘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한다. 낚싯줄이 블랭크에 바싹 붙어 진행된다면 블랭크의 고유의 힘을 잃을 리는 없지만 불가능한 일이고 여기에서 태어난 것이 바로 인터라인 낚싯대라고 보면 옳다.

동일한 4~5m 길이의 백사장 원투대(예: 구경30~10, 개수 약6개)와 갯바위 찌낚싯대(예: 구경10~4, 개수 약15개)는 이처럼 낚싯대의 주목적, 용도에 맞도록 가이드(형태, 개수)가 다르다.

가이드를 붙이는 원칙은 있다 : 가이드 세팅방법
가이드를 낚싯대에 부착하는 위치를 잡는 방법이 있다. 여기에는 블랭크의 휨세, 길이, 사용하는 릴의 종류와 크기 등이 작용한다. <그림9>과 같이 스피닝 릴은 낚싯대에 대해 약간 기울어져 부착된다. 이론적으로, 릴과 낚싯대가 이루는 각도의 교점을 찾고 여기에 초크가이드(Choke guide)를 설치한다. 그 크기는 물론 그때그때 낚싯대마다 다르다. 이 초크가이드에서 릴 쪽의 가이드는 그림과 같이 구경과 거리에 맞춰 적당하게 배치한다. 반대 초리 쪽은 초크가이드보다 작은 가이드를 붙여나간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이론적인 방법으로 실제적으로는 이론을 기초로 블랭크에 릴을 임시 고정하고 휘어보면서 적절한 부착위치를 찾아간다. 위치가 정해지면 가이드를 고정하고 직접 낚시를 해 본 후 위치수정 혹은 가이드 구경이나 개수의 교체 등을 고려한다.
완벽은 있을 수 없는데, 좀더 말하자면 사용자의 팔 길이와 습관, 사용할 릴에 따라 동일한 블랭크라 하더라도 가이드의 크기와 위치는 조금씩 달라질 것이다. 맞춤형 낚싯대가 아닌 이상에야 이 모든 것을 만족할 수는 없다는 것을 이해하시길.

댓글 없음: